공모주 청약에 처음으로 참여하려고 준비하고 있는 초보투자자를 위해 청약방법을 아주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단계별로 설명을 드릴 거라, 공모주 투자 첫 참여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나씩 따라하면 될 것 같습니다.
공모주 청약이란?
공모주 청약이란 기업이 기업공개를 통해 증권시장 상장을 진행할 때, 투자자들이 그 주식을 사겠다고 증거금을 미리 내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인이 기업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면, 이후에 기업이 비율에 따라 주식을 나눠줍니다.
공모주 청약은 개인투자자들에게 안전하면서도 수익이 좋은 투자처로 인기를 끌고 있는 편입니다. 공모주식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되면 처음 공모주 발행가보다 거래가가 높이 형성되어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따블 따따블 이라고 부르는 게 이런 현상입니다.
그리고 소위 대어급이라고 불리는 기업들이 상장하는 경우,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은 단시간에 큰 차익을 벌어들일 수 있습니다. 올 하반기에는 이렇게 흥행이 보장되는 종목들이 IPO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공모주 청약 준비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모주 청약 1. 청약 기업 선택
개인이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려면 일단 공모주 청약 일정을 확인하고, 어떤 기업이 IPO를 진행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IPO 진행 기업들 가운데 어떤 기업이 투자할 만한 기업인지, 흥행을 일으킬 기업인지 판단을 해야합니다. 개인투자자가 일일이 분석하고 선택하는 건 쉽지 않은데, 그 시기에 나오는 경제기사를 잘 살펴보면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소위 따블 따따블이 확실한 기업이라면 기사에서도 긍정적인 시그널이 보입니다.
공모주 청약 2. 공모가, 주관사 확인
청약하고 싶은 기업을 결정하였다면 구체적인 청약 일정과 공모가, 주관사 확인을 해두어야 합니다. 공모가란 청약 주식가격을 의미하고, 주관사는 기업공개를 주관하는 증권사를 의미합니다.
공모주 청약 3. 증권계좌 개설
주관사 확인이 됐다면 해당 주관사에 계좌개설을 마쳐야 합니다. 이미 증권계좌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이 단계가 필요하지 않지만, 해당 증권사에 계좌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개설해야 합니다.
공모주 청약 4. 청약증거금 넣기
그리고 계좌 개설을 마쳤다면 최소 청약주식수를 확인하고 청약증거금을 준비해서 계좌에 넣어두어야 합니다. 청약증거금은 (최소 청약주식수 X 공모가 X 0.5) 입니다. 예를 들어, 공모가가 주당 2만원이고 최소 청약주식수가 10주라면 청약증거금은 10만원입니다. (10 X 2만원 X 0.5 = 10만원)
공모주 청약 5. 배정 후 상장일 매도
만약 이렇게 청약증거금을 넣고 기다렸다가 청약에 성공하여 공모주 배정을 받게 되면, 상장일에 매도를 해야 합니다. 물론 장기적으로 투자를 해도 좋지만, 보통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는 분들은 상장일에 매도하여 시세차익을 얻고 다시 다음 청약을 준비하기 때문입니다. 돈이 묶여 있는 것이 문제되지 않는다면 좀 더 여유있게 매도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보통 상장일에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만큼, 시기를 놓치지 않고 매도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그뤠잇경제이슈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삼성전자 4분기 배당금 지급일정 (1) | 2023.10.24 |
---|---|
삼성증권 주식 옮기기, 다른 증권사 증권계좌로 옮기는 타사대체출고 (0) | 2023.10.23 |
미래에셋증권 타사대체출고 방법, 다른 증권사로 주식 이전하는 방법 (2) | 2023.10.23 |
키움증권 주식 옮기기, 다른 증권사 계좌로 주식 이체하는 타사대체출고 방법 (1) | 2023.10.23 |
공모주 청약 참여를 위한 사전준비 3가지 (청약일정 알림받기, 증권사 계좌개설, 실투자금 분배) (0) | 2023.06.29 |